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같은 듯 다른 코어운동 vs 복근운동

by exercisehealth 2025. 3. 22.
반응형

코어운동 VS 복근운동

 

운동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단어, ‘코어 근육’, '코어 운동'. 많이 들어보긴 했는데, 실제로 정확하게 이해하고 계신 분들은 많이 않은 것 같다. 복근이랑 코어근육이랑 똑같은 거 아냐?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해 오늘은 둘의 차이점과 역할, 효율적인 운동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1. 코어근육 vs 복근 – 정확한 의미와 구성 근육

 

구분 정의 포함하는 주요 근육
복근 복부에 위치한 근육. 복부 전면과 측면의 움직임과 형태에 관련된 근육군. - 복직근 (Rectus Abdominis)
- 외복사근 (External Oblique)
- 내복사근 (Internal Oblique)
- 복횡근 (Transversus Abdominis)
코어근육 몸통 중심을 안정화하고 움직임을 조절하는 몸의 중심부에 있는 근육들. 복근 포함 + (넓은 의미에서는) 몸통, 골반, 엉덩이까지 포함. - 복근 전체
- 척추기립근 (Erector Spinae)
- 다열근 (Multifidus)
- 횡격막 (Diaphragm)
- 골반저근 (Pelvic floor muscles)
- 대둔근 (Gluteus Maximus) 등

👉 복근은 코어근육의 일부분이에요. 모든 복근은 코어근육이지만, 모든 코어근육이 복근은 아니다.


2. 역할의 차이 – 복근은 움직임, 코어는 안정성


복근의 역할 코어근육의 역할
몸을 구부리거나 옆으로 회전시키는 등 동적인 움직임에 주로 관여 척추와 골반을 안정화하고, 움직일 때 자세를 지지하고 조절, 코어가 강하면 운동 효율, 자세 안정성, 부상 예방에 도움

예시:

  • 복근은 윗몸일으키기나 크런치처럼 몸을 접는 동작에 활발하게 쓰인다.
  • 코어근육은 데드리프트, 플랭크, 스쿼트 같은 전신 운동 중에도 몸통을 안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3. 복근 강화 운동 예시

 

운동 예시 효과
크런치 (Crunch) 복직근 집중 자극
레그레이즈 (Leg Raise) 하복부 집중, 코어 보조 작용
바이시클 크런치 복사근 자극
V업 (V-up) 전체 복근 자극, 유연성 필요

4. 코어근육 강화 운동 예시


운동 예시 효과
플랭크 (Plank) 정적 수축을 통해 전체 코어 자극
버드독 (Bird-Dog) 척추 안정성, 균형 능력 향상
데드버그 (Dead Bug) 코어 안정성과 협응 훈련
스탠딩 안티로테이션 (Pallof Press) 회전 저항을 통한 코어 조절 능력 향상
오버헤드 스쿼트(Overhead Squat) 몸통 전체의 세로 안정성 향상
케틀벨 윈드밀 (Kettlebell Windmill) 몸통회전 안정성과 측면 굴곡 저항 훈련

대부분의 코어운동은 복근을 같이 강화시킨다.

 

 

5. 왜 코어근육이 그렇게 중요할까?

운동 전문가들이 그렇게도 코어를 강조하는 이유, 단순히 ‘복근을 예쁘게 만들기 위해서’는 아닙니다. 코어근육은 우리 몸의 기반이자 중심축 역할을 하기 때문에, 운동 능력, 자세, 부상 예방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1. 신체 움직임의 중심 축

모든 신체 움직임은 코어를 중심으로 시작됩니다. 걷기, 달리기, 앉기, 들기, 회전하기 등 거의 모든 활동에서 코어가 중심을 잡고 힘을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하죠.

🔹 2. 자세 안정성과 체형 유지

약한 코어는 허리 통증, 자세 불균형, 골반 비틀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 강한 코어는 척추를 지지하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게 도와줍니다.

🔹 3. 운동 효율 향상

코어가 강하면 상·하체의 힘 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웨이트 트레이닝이나 스포츠 퍼포먼스가 더 좋아집니다. 예를 들어, 스쿼트나 데드리프트 중에 허리가 흔들리는 건 코어 안정성이 부족해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4. 부상 예방

특히 허리, 골반, 무릎 부상은 코어의 안정성 결여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코어 근육이 신체의 충격을 흡수하고 분산시키기 때문에, 충격성 움직임에서도 부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6. 속근육은 또 뭐야?

🧬 코어근육 vs 속근육(심부근육) – 개념과 차이


구분 정의 포함근육 관계
코어근육 몸통 중심부를 지지하고 안정화하는 근육군. 광의적 개념으로, 심부근과 일부 표면근 포함 복횡근, 다열근, 횡격막, 골반저근, 복직근, 외복사근, 대둔근, 척추기립근 등 속근육을 포함하는 상위 개념
속근육 (심부근) 관절과 척추를 미세하게 조절하고 안정화하는 깊숙한 위치의 근육. 대부분 코어의 안쪽에 위치 복횡근, 다열근, 골반저근, 횡격막 등 코어의 핵심 근육군 (core of the core)
  • 모든 속근육은 코어근육이지만,
  • 모든 코어근육이 속근육은 아니다.

🔍 예를 들어:

  • 복횡근속근육이자 코어근육입니다. 복부 가장 깊숙한 곳에 위치하면서 척추를 안정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 복직근(복근 중 '식스팩' 부위)은 코어근육이지만, 속근육은 아닙니다. 복부 전면의 표면에 가깝고, 몸을 굽히는 동작 근육이다.
  • 척추기립근이나 대둔근도 일부 문헌에선 코어근육으로 분류되지만, 위치상 표층 근육에 가깝다.

💡 왜 사람들이 ‘코어 = 속근육’이라고 말할까?

  • 현대 운동처방이나 재활 분야에서는 '코어 안정화(core stabilization)’를 강조하면서, 특히 속근육들(복횡근, 다열근, 골반저근 등)의 기능 회복과 강화에 초점을 둔다.
  • 그래서 실무나 교육 현장에서 "코어근육은 속근육이다"라고 단순화해서 설명하는 경우가 많다.
  • 하지만 학문적으로나 해부학적으로는 더 포괄적인 개념인 코어근육이 맞다.

 


💪 왜 코어근육이 그렇게 중요할까?

운동 전문가들이 그렇게도 코어를 강조하는 이유, 단순히 ‘복근을 예쁘게 만들기 위해서’는 아니다. 코어근육은 우리 몸의 기반이자 중심축 역할을 하기 때문에, 운동 능력, 자세, 부상 예방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 1. 신체 움직임의 중심 축

모든 신체 움직임은 코어를 중심으로 시작된다. 걷기, 달리기, 앉기, 들기, 회전하기 등 거의 모든 활동에서 코어가 중심을 잡고 힘을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 2. 자세 안정성과 체형 유지

약한 코어는 허리 통증, 자세 불균형, 골반 비틀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반면 강한 코어는 척추를 지지하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게 도와준다.

🔹 3. 운동 효율 향상

코어가 강하면 상·하체의 힘 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웨이트 트레이닝이나 스포츠 퍼포먼스가 더 좋아진다. 예를 들어, 스쿼트나 데드리프트 중에 허리가 흔들리는 건 코어 안정성이 부족해서일 가능성이 높다.

🔹 4. 부상 예방

특히 허리, 골반, 무릎 부상은 코어의 안정성 결여와 깊은 관련이 있다. 코어 근육이 신체의 충격을 흡수하고 분산시키기 때문에, 충격성 움직임에서도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


✅ 마무리 정리

  • 복근 운동은 주로 복부 전면의 근육을 수축하고 강화하는 데 초점.
  • 코어 운동 척추와 골반, 몸통을 안정화시켜 운동 전반의 효율성과 부상 예방에 핵심적.
  • 목적에 따라 복근과 코어 운동을 조합하면 균형 잡힌 체형과 기능적인 몸을 만들 수 있다.
반응형